최근 초급간부 처우개선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 ~ 10년차 초급간부(장교)의 소득을 동일 연령대의 근로자임금 소득구간 및 근속기간별 근로자임금 소득구간을 기준으로 전체 임금노동자로 가정하였을 때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해보았습니다.
확인결과 연령기준 임금은 가장 낮은 경우가 3년차로 전체 임금노동자 대비 상위 44.3% ~ 47.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경우는 7년차로 상위 18.1% ~ 19.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속기간별 임금은 가장 낮은 경우가 4년차로 전체 임금노동자 대비 상위 47.5% ~ 50.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경우는 5년차로 상위 32.3% ~ 34.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성 기준
작성에 활용한 자료는 아래의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통계입니다.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 일자리행정통계 | 고용 · 노동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
통계청
kostat.go.kr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소득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21년 임금근로자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는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소득은 12월 31일 기준의 만나이로 20 ~24세, 25 ~ 29세, 30 ~ 34세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임금소득은 범위로 제공되며 85만원 ~ 150만원 미만, 150만원 ~ 250만원 미만, 250만원 ~ 350만원 미만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동일 나이대의 통계를 적용하되 임금 범위의 범위 내 사람의 수는 균등하게 분포되어있다고 가정하여 10으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150만원 ~ 250만원 미만의 소득을 지닌 사람이 전체 인구의 10%라면, 150만원 ~ 160만원 미만의 소득을 지닌 임금근로자는 1%가 있는 것 입니다.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소득은 동일한 나이대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초급간부가 받은 연봉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교 졸업후 바로 입직한 노동자나 대학-대학원 졸업 후 비교적 늦게 노동시장에 편입된 노동자들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소득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닙니다.
근속기간별 임금근로자 소득
근속기간별 임금근로자 소득 또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21년 임금근로자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서 참고하였습니다. 근속기간의 경우 해당 기업체에 입사하여 일한 기간으로 1년 미만, 1년 ~ 2년 미만, 2년 ~ 3년 미만, 3년 ~ 5년 미만, 5년 ~ 10년 미만 그룹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임금소득은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소득의 범위와 동일합니다,
근속기간별 임금근로자 소득도 위의 가정과 같이 임금 범위의 범위 내 사람의 수는 균등하게 분포되어있다고 가정하여 10으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150만원 ~ 250만원 미만의 소득을 지닌 사람이 전체 인구의 10%라면, 150만원 ~ 160만원 미만의 소득을 지닌 임금근로자는 1%가 있는 것 입니다.
초급간부 소득
초급간부의 소득은 이전에 추정한 자료를 고려해 2023년 소위 ~ 대위인 장교의 세전 연봉으로 한정하였습니다. 또한, 위의 통계와 연차가 다른 점을 고려 연소득을 2021년 소비자물가상승률 및 2022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2021년의 가치로 환산하였습니다.
초급간부의 연봉 및 월급에 관한 기존의 분석 내용은 아래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2023 직업군인 월급 및 수당, 예상 연봉 정리 (1) 중ㆍ소위
2023년 군인의 봉급표를 기준으로 본봉, 각종 수당, 성과상여금, 기여금, 소득세, 건강보험료를 바탕으로 계급별ㆍ호봉별 예상되는 계급별ㆍ호봉별 월급과 수당을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글은 소
soldier-tips.com
2023 직업군인 월급 및 수당, 예상 연봉 정리 (2) 대위
2023년 군인의 봉급표를 기준으로 본봉, 각종 수당, 성과상여금, 기여금, 소득세, 건강보험료를 바탕으로 계급별ㆍ호봉별 예상되는 계급별ㆍ호봉별 월급과 수당을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글은 대
soldier-tips.com
초급간부(장교) 처우 비교
동일 연령 대비 소득 순위
동일 연령 대비 소득 순위를 비교하면 위의 그래프와 같습니다. 분석 결과는 주로 1 ~ 4년차 장교(2년차 제외)가 동일 연령대의 다른 근로소득자가 받는 소득으로 보았을 때 다른 연차들에 비해서 다소 낮은 소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초급간부는 동일연령의 근로소득자 대비 약 상위 18% ~ 44%의 소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래는 연차별 소득 범위입니다.
- (1년차) 20 - 24세와 비교하여 상위 33.7% ~ 37.8%
- (2년차) 20 - 24세와 비교하여 상위 19.9% ~ 21.5%
- (3년차) 25 - 29세와 비교하여 상위 44.3% ~ 47.2%
- (4년차) 25 - 29세와 비교하여 상위 38.3% ~ 41.3%
- (5년차) 25 - 29세와 비교하여 상위 20.5% ~ 23.5%
- (6년차) 25 - 29세와 비교하여 상위 19.3% ~ 20.5%
- (7년차) 25 - 29세와 비교하여 상위 18.1% ~ 19.3%
- (8년차) 30 - 34세와 비교하여 상위 29.5% ~ 31.3%
- (9년차) 30 - 34세와 비교하여 상위 27.7% ~ 29.5%
- (10년차) 30 - 34세와 비교하여 상위 25.8% ~ 27.7%
근속기간 대비 소득 순위
동일 근속기간 대비 소득 순위를 비교하면 위의 그래프와 같습니다. 분석 결과는 주로 1년차 및 5년차 장교가 동일 근속기간을 가진 다른 근로소득자가 받는 소득으로 보았을 때 다른 연차들에 비해서 다소 낮은 소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초급간부는 동일연령의 근로소득자 대비 약 상위 32% ~ 48%의 소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래는 연차별 소득 범위입니다.
- (1년차) 1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33.4% ~ 36.2%
- (2년차) 1년 ~ 2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2.5% ~ 44.9%
- (3년차) 2년 ~ 3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6.0% ~ 48.5%
- (4년차) 3년 ~ 5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7.5% ~ 50.0%
- (5년차) 3년 ~ 5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32.3% ~ 34.8%
- (6년차) 5년 ~ 10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7.1% ~ 49.0%
- (7년차) 5년 ~ 10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5.2% ~ 47.1%
- (8년차) 5년 ~ 10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41.5% ~ 43.3%
- (9년차) 5년 ~ 10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39.6% ~ 41.5%
- (10년차) 5년 ~ 10년 미만과 비교하여 상위 37.8% ~ 39.6%
이번 글에서는 초급간부 처우개선에 대한 논의를 1 ~ 10년차 초급간부(장교)의 소득을 동일 연령대의 근로자임금 소득구간 및 근속기간별 근로자임금 소득구간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설펴봄으로써 상대적인 처우 정도를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연봉 뿐만 아니라 처우에는 다양한 요소가 포함되므로 연봉만을 가지고 이야기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므로 하나의 변수로써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방정책 및 군인복지에 관한 제도 전반을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분석평가를 위해서 현직군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을 스스로 공부하고 정리하여 쓰기 위한 게시물입니다. 법률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쓰려고 노력하지만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시면 공부하고 수정하겠습니다.
[공지/인기글] 군인사회학 연구노트
공지사항 저자의 저술 의도와 방향성 [소개] 군인사회학 연구노트란? 저자가 군인사회학 연구노트를 쓰게 된 계기와 주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 글입니다. 글을 읽고 취지를 이해하신 뒤
soldier-tips.com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기준 실수령액ㆍ연봉 측면에서의 초급간부와 병사의 처우 비교 (0) | 2023.11.12 |
---|---|
2024 직업군인 육아휴직 신청방법과 육아휴직수당 예상 (2) | 2023.10.22 |
직업군인 나이대별 전역ㆍ제대시 예상 연봉 (0) | 2023.09.14 |
군인연금 적자는 이기적인 군인들 때문? (2) (0) | 2023.09.01 |
군인연금 적자는 이기적인 군인들 때문? (1)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