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은 직업의 특성상 잦은 이사 가는 지역별로 새롭게 관사나 독신숙소를 얻어 지내야 합니다. 따라서, 전출 갈 때마다 이 지역 숙소는 어떤 상태일까? 하는 물음을 갖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시ㆍ도별로 준공연한을 기준으로 한 노후도를 분석하여 알려드림으로써 개략적인 상태를 짐작할 수 있게 해 드립니다.
군인아파트 시ㆍ도별 노후도
노후도 분석 방법
노후도 분석을 위한 자료는 앞서 분석에 사용했던 공공데이터포털의 「국방부 영외 군인아파트 현황」으로 현재 기준으로 '23년 8월에 최신화된 자료입니다. 자료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가능합니다.
노후도는 아래와 같이 분석합니다.
- 모든 건축물은 현재연도(2023년)에 준공연도를 기준으로 노후도 값을 산출 (예를 들어, 2011년 준공된 아파트의 경우 노후도는 2023 - 2011 = 12 임)
- 건축물의 노후도 X 해당 건축물의 세대수로 건축물의 노후도 영향력 산출
- 시ㆍ도별로 노후도 영향력을 모두 더한 값을 전체 세대수로 나눠 평균 노후도 산출
위의 방식을 통해 구한 평균 노후도는 결과적으로 해당 시ㆍ도에서 관사나 독신숙소를 받을 경우 평균적으로 받을 아파트의 준공연도가 됩니다.
위의 방식으로 노후도를 산출하였을 때의 약점은 아파트의 소규모 혹은 대규모 보수를 통한 노후도 개선 정도를 반영하기 어렵고, 공급평수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특정 상태(독신자, 다자녀 등)의 거주자가 주로 거주하게 될 곳의 개별 노후도를 알아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역별로 노후정도에서 차이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효과적인 분석방법입니다.
지역별 노후도 개괄
시ㆍ도 지역별 노후도는 위의 인포그래픽과 같습니다. 위의 인포그래픽은 평균 노후도 0 ~ 10년 미만의 경우 녹색, 10년 이상 ~ 20년 미만의 경우 주황색, 20년 이상인 경우 적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군사분계선 지역과 인접할수록 노후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심지역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노후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노후 정도 및 순위
지역별 세부 노후 정도 및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 | 시ㆍ도 | 노후도 지수 |
1 | 대전광역시 | 23.34 |
2 | 울산광역시 | 23.17 |
3 | 인천광역시 | 22.33 |
4 | 전라남도 | 22.02 |
5 | 대구광역시 | 21.22 |
6 | 광주광역시 | 19.86 |
7 | 경상북도 | 19.81 |
8 | 경상남도 | 19.42 |
9 | 세종특별자치시 | 18.45 |
10 | 충청남도 | 17.15 |
11 | 부산광역시 | 17.06 |
12 | 충청북도 | 16.97 |
13 | 전라북도 | 16.86 |
14 | 강원도 | 16.16 |
15 | 서울특별시 | 15.77 |
16 | 경기도 | 15.35 |
17 | 제주특별자치도 | 9.35 |
위의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전, 울산, 인천, 대구 지역의 시단위 기초자치단체의 노후도 지수가 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는 주로 지리적으로 남쪽에 위치할수록 노후도 지수가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군인아파트의 전체적인 공급세대 및 노후 정도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방정책 및 군인복지에 관한 제도 전반을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분석평가를 위해서 현직군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을 스스로 공부하고 정리하여 쓰기 위한 게시물입니다. 법률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쓰려고 노력하지만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시면 공부하고 수정하겠습니다.
'주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공군부대 군인 관사ㆍ독신숙소(군관사ㆍ군인아파트) 위치 및 연식 확인 (0) | 2023.10.07 |
---|---|
전국 육군부대 군인 관사ㆍ독신숙소(군관사ㆍ군인아파트) 위치 및 연식 확인 (0) | 2023.10.06 |
직업군인 주택 특별공급 신청 요령ㆍ팁 (0) | 2023.10.04 |
직업군인 주택 특별공급 및 수도권 청약자격확인 공고 확인 및 신청 (0) | 2023.10.03 |
직업군인 주택 특별공급 및 수도권 청약자격확인 대상자 확인 (0) | 202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