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와 중위의 월급과 연봉, 그리고 실수령액을 알려드립니다. 통상 군인이 받을 수 있는 월급과 수당, 성과상여금 등 다양한 수입과 동시에 세금과 기여금 등 제외해야하는 금액까지 모두 포함하여 실제 월별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알려드립니다. 특히, 일반적인 기준에 따라 호봉의 승급이나 진급 등도 반영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년 6월 수정) 해당 자료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가 반영되어있지 않은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호봉별 내용 하단에 추가하였습니다.
(2024년 8월 최신화) 블로그를 이전하면서 아래 글로 이전하여 최신화중에 있으니 최근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 소위ㆍ중위 월급, 연봉, 실수령액 | 구닌팁
소위와 중위의 월급과 연봉, 그리고 실수령액을 알려드립니다. 통상 군인이 받을 수 있는 월급과 수당, 성과상여금 등 다양한 수입과 동시에 세금과 기여금 등 제외하면 소위 1년차는 연봉 2천4
gunintip.com
아래는 초급간부(중, 소위)와 병사로 복무할 때의 연봉 차이를 계산한 내용입니다.
24년 기준 실수령액ㆍ연봉 측면에서의 초급간부와 병사의 처우 비교
병사의 봉급 상승에 따른 초급간부의 처우와 비교하는 언론 보도가 많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으로 따졌을 때 초급간부로 복무했을 때와 병사의 처우를 비교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
soldier-tips.com
다른 계급의 직업군인 월급, 연봉, 실수령액을 알고싶으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 하사 월급 및 연봉 (호봉별 실수령액 포함)
직업군인 중 하사의 복무기간, 임관년차 및 호봉을 기준으로 하사의 월급과 연봉, 그리고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막 임관한 하사 1년 차부터 하사 8년 차까지 복무기
soldier-tips.com
2024 직업군인 대위 호봉별 월급, 연봉, 실수령액
이번 글은 보병 대위의 임관년차 및 호봉을 기준으로 월급 및 연봉, 그리고 실수령액을 알아봅니다. 대위 1년차(만 4년 복무자)부터 대위 11년차(만 14년차 복무자)까지 복무기간 별로 받을 수 있
soldier-tips.com
2024 소령 월급 및 연봉 (호봉별 실수령액 포함)
직업군인 중 소령의 복무기간, 임관년차 및 호봉을 기준으로 소령 월급과 연봉 그리고 소령의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 10년 복무한 소령 1년차부터, 만 19년 복무한 소령 10
soldier-tips.com
2024 중령 월급 및 연봉 (호봉별 실수령액 포함)
직업군인 중 중령의 복무기간, 임관년차 및 호봉을 기준으로 중령령 월급과 연봉 그리고중령의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 17년 복무한 중령 1년차부터, 만 29년 복무한 중령 1
soldier-tips.com
2024 대령 월급 및 연봉 (호봉별 실수령액 포함)
직업군인 중 대령의 복무기간, 임관년차 및 호봉을 기준으로 대령 월급과 연봉 그리고 대령의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 22년 복무한 대령 1년차부터, 만 32년 복무한 대령 11
soldier-tips.com
2024 소위 1년차(24년 임관자, 소위 1호봉) 수령액
소위 1년차는 3월 임관자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습니다.
24년 소위 1년차(24년 임관, 소위 1호봉) 월급, 연봉, 실수령액 요약
구분 | 금액 | |
연봉 | 30,085,747 | |
월 실수령액 | 2,564,003 ~ 3,678,572 | |
월 수입 |
계 | 2,799,420 ~ 4,074,380 |
본봉 | 1,892,400 / 1,979,600 | |
정근수당 (1, 7월) |
0 | |
정근수당가산금 | 30,000 | |
시간외근무수당 (57시간 기준) |
562,020 | |
명절휴가비 (2, 9월) |
0 / 1,187,760 | |
직급보조비 | 175,000 | |
성과상여금 (3월) |
0 | |
연가보상비 | 271,244 / 283,743 | |
정액급식비 | 140,000 | |
월 지출 |
계 | 235,417 ~ 395,808 |
근로소득세 | 54,470 ~ 200,280 | |
지방소득세 | 5,447 ~ 20,028 | |
기여금 | 175,500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96,45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4년 소위 1년차(24년 임관, 소위 1호봉) 월별 실수령액
구분 | 실수령액 | 수입 | 지출 |
3월 | 2,564,003 | 2,799,420 | 235,417 |
4월 | 2,564,003 | 2,799,420 | 235,417 |
5월 | 2,564,003 | 2,799,420 | 235,417 |
6월 | 2,808,891 | 3,070,664 | 261,773 |
7월 | 2,564,003 | 2,799,420 | 235,417 |
8월 | 2,564,003 | 2,799,420 | 235,417 |
9월 | 3,678,572 | 4,074,380 | 395,808 |
10월 | 2,642,733 | 2,886,620 | 243,887 |
11월 | 2,642,733 | 2,886,620 | 243,887 |
12월 | 2,899,646 | 3,170,363 | 270,716 |
2024 소위 2년차 / 중위 1년차(23년 임관자, 소위 2호봉 / 중위 1호봉) 수령액
24년 소위 2년차 / 중위 1년차 (23년 임관, 소위 2호봉 / 중위 1호봉) 월급, 연봉, 실수령액 요약
구분 | 금액 | |
연봉 | 41,246,279 | |
월 실수령액 | 2,577,630 ~ 4,575,119 | |
월 수입 |
계 | 2,886,620 ~ 5,210,490 |
본봉 | 1,979,600 / 2,041,400 / 2,142,200 | |
정근수당 (1, 7월) |
0 / 102,070 | |
정근수당가산금 | 30,000 | |
시간외근무수당 (57시간 기준) |
562,020 / 578,550 | |
명절휴가비 (2, 9월) |
1,187,760 / 1,285,320 | |
직급보조비 | 175,000 | |
성과상여금 (3월) |
2,271,060 | |
연가보상비 | 292,601 / 307,049 | |
정액급식비 | 140,000 | |
월 지출 |
계 | 308,990 ~ 635,371 |
근로소득세 | 69,020 ~ 358,880 | |
지방소득세 | 6,902 ~ 35,888 | |
기여금 | 240,603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10,26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4년 소위 2년차 / 중위 1년차 (23년 임관, 소위 2호봉 / 중위 1호봉) 월별 실수령액
구분 | 실수령액 | 수입 | 지출 |
1월 | 2,577,630 | 2,886,620 | 308,990 |
2월 | 3,613,469 | 4,074,380 | 460,911 |
3월 | 4,575,119 | 5,210,490 | 635,371 |
4월 | 2,648,425 | 2,964,950 | 316,525 |
5월 | 2,648,425 | 2,964,950 | 316,525 |
6월 | 2,914,207 | 3,257,551 | 343,343 |
7월 | 2,741,090 | 3,067,020 | 325,930 |
8월 | 2,648,425 | 2,964,950 | 316,525 |
9월 | 3,849,041 | 4,351,070 | 502,029 |
10월 | 2,739,820 | 3,065,750 | 325,930 |
11월 | 2,739,820 | 3,065,750 | 325,930 |
12월 | 3,013,406 | 3,372,799 | 359,392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10,26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024 중위 2년차(22년 임관자, 중위 2호봉) 수령액
24년 중위 2년차 (22년 임관, 중위 2호봉) 월급, 연봉, 실수령액 요약
구분 | 금액 | |
연봉 | 43,129,693 | |
월 실수령액 | 2,826,055 ~ 4,741,869 | |
월 수입 |
계 | 3,172,861 ~ 5,422,173 |
본봉 | 2,142,200 / 2,243,000 | |
정근수당 (1, 7월) |
107,110 / 214,220 | |
정근수당가산금 | 30,000 | |
시간외근무수당 (57시간 기준) |
578,550 | |
명절휴가비 (2, 9월) |
1,285,320 / 1,345,800 | |
직급보조비 | 175,000 | |
성과상여금 (3월) |
2,271,060 | |
연가보상비 | 307,049 / 321,497 | |
정액급식비 | 140,000 | |
월 지출 |
계 | 346,806 ~ 680,304 |
근로소득세 | 86,560 ~ 389,740 | |
지방소득세 | 8,656 ~ 38,974 | |
기여금 | 251,590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15,00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4년 중위 2년차 (22년 임관, 중위 2호봉) 월별 실수령액
구분 | 실수령액 | 수입 | 지출 |
1월 | 2,826,055 | 3,172,861 | 346,806 |
2월 | 3,838,056 | 4,351,072 | 513,016 |
3월 | 4,741,869 | 5,422,173 | 680,304 |
4월 | 2,728,837 | 3,065,754 | 336,917 |
5월 | 2,728,838 | 3,065,755 | 336,917 |
6월 | 3,002,426 | 3,372,805 | 370,379 |
7월 | 2,923,051 | 3,279,977 | 356,926 |
8월 | 2,728,841 | 3,065,758 | 336,917 |
9월 | 3,975,847 | 4,512,359 | 536,512 |
10월 | 2,819,754 | 3,166,560 | 346,806 |
11월 | 2,819,755 | 3,166,561 | 346,806 |
12월 | 3,101,543 | 3,488,059 | 386,516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15,00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024 중위 3년차 / 대위 1년차 (21년 임관자, 중위 3호봉 / 대위 1호봉) 수령액
24년 중위 3년차 / 대위 1년차 (21년 임관, 중위 3호봉 / 대위 1호봉) 월급, 연봉, 실수령액 요약
구분 | 금액 | |
연봉 | 45,929,696 | |
월 실수령액 | 3,001,467 ~ 4,906,373 | |
월 수입 |
계 | 3,390,863 ~ 5,633,865 |
본봉 | 2,243,000 / 2,581,100 | |
정근수당 (1, 7월) |
224,300 / 336,450 | |
정근수당가산금 | 30,000 | |
시간외근무수당 (57시간 기준) |
578,550 | |
명절휴가비 (2, 9월) |
1,345,800 / 1,406,280 | |
직급보조비 | 175,000 / 250,000 | |
성과상여금 (3월) |
2,271,060 | |
연가보상비 | 321,497 / 369,958 | |
정액급식비 | 140,000 | |
월 지출 |
계 | 389,395 ~ 727,491 |
근로소득세 | 110,430 ~ 417,790 | |
지방소득세 | 11,043 ~ 41,779 | |
기여금 | 267,922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22,19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24년 중위 3년차 / 대위 1년차 (21년 임관, 중위 3호봉 / 대위 1호봉) 월별 실수령액
구분 | 실수령액 | 수입 | 지출 |
1월 | 3,001,455 | 3,390,850 | 389,395 |
2월 | 3,959,506 | 4,512,350 | 552,844 |
3월 | 4,906,359 | 5,633,850 | 727,491 |
4월 | 2,803,412 | 3,166,550 | 363,138 |
5월 | 2,803,412 | 3,166,550 | 363,138 |
6월 | 3,085,199 | 3,488,047 | 402,848 |
7월 | 3,097,468 | 3,503,000 | 405,532 |
8월 | 2,803,412 | 3,166,550 | 363,138 |
9월 | 4,096,993 | 4,673,630 | 576,637 |
10월 | 2,894,092 | 3,267,350 | 373,258 |
11월 | 3,352,210 | 3,795,395 | 443,185 |
12월 | 3,662,438 | 4,165,353 | 502,915 |
* 여기에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로 월 평균 122,190원이 추가 지출되는 것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 국방정책 및 군인복지에 관한 제도 전반을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분석평가를 위해서 현직군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을 스스로 공부하고 정리하여 쓰기 위한 게시물입니다. 법률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쓰려고 노력하지만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시면 공부하고 수정하겠습니다.
[공지/인기글] 군인사회학 연구노트
블로그 글쓴이의 글쓰기 의도와 추가적인 문의사항 요청 방법, 그리고 각 분야별 인기글을 세부 주제별로 살펴보기 위한 공지사항 입니다.
soldier-tips.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소령 월급 및 연봉 (호봉별 실수령액 포함) (0) | 2024.04.11 |
---|---|
2024 직업군인 대위 호봉별 월급, 연봉, 실수령액 (0) | 2024.04.02 |
직업군인 신한 iMND 카드 혜택 확인 및 신청 (1) | 2024.03.29 |
초과근무수당 수령 여부에 따른 대위ㆍ소령 진급시 연봉격차 분석 (1) | 2024.03.18 |
직업군인 KB국민 iMND 카드 혜택 확인 및 신청 (0) | 2024.03.13 |